우리나라의 다태아 출산율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쌍둥이 이상 출산을 뜻하는 ‘고차 다태아’ 출산율은 세계 1위였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세계 다태아 출산율 데이터(HMBD) 등을 분석한 ‘한국의 다태아 출생 추이와 과제’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다태아 출산율은 26.9건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27개 주요국 가운데 그리스(29.5건)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는 전체 평균(15.5건)보다 11.4건, 약 1.7배 높은 수치다.
세쌍둥이 이상 '고차 다태아’ 출산율은 1000건당 0.59건. 조사 대상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2위 그리스(0.37건)를 크게 웃돌며, 전체 평균(0.21건)의 약 세 배에 달했다.
이 같은 현상은 전체 출생아 수는 줄어드는 반면, 고령 산모는 늘어나고, 난임 시술·보조생식술 이용이 증가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고령 임신이 다태아 출산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꼽으며, 보조생식술 확산, 사회적 출산 지연 추세가 맞물리며 이러한 변화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한편, 자연 임신 시 다태아 임신 비율은 1~2% 수준이다. 보조생식술을 할용할 경우 그 비율은 30~40%까지 급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저작권자 © 베이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베이비뉴스(https://www.ibabynews.com)